본문 바로가기
사회|경제

시민의 용기와 연대가 만든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승리

by 부엉 패밀리 2025. 6. 13.
300x250
반응형

방정훈-해병대

 

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지켜낸 시민의 힘과 연대 비상계엄이라는 말 한마디에 숨죽이던 시간이 있었다. 하지만 대한민국은 총성이 아닌 촛불로 답했고, 분열이 아닌 연대로 대응했다. 그 중심에는 이름 없는 시민들이 있었다. 민주주의는 어느 날 갑자기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. 그것은 늘 위태로운 경계에서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용기와 선택으로 지켜지는 것이다.

목차


비상계엄의 위기와 시민의 침착함

한 인사의 회고 속에는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처한 위기의 순간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. 그는 말했습니다. 비상계엄 당시 군인 가운데 단 한 사람이라도 총을 발포했다면 상상하기도 싫은 일들이 일어났을 것이다. 그 말은 그저 과장된 수사가 아니라, 실제로 시민의 안전과 국가의 명운이 갈리는 중대한 고비였음을 드러냅니다. 하지만 다행히도, 그 순간 시민은 폭력으로 대응하지 않았고, 군 또한 자제했습니다. 이러한 시민의 침착함과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은 대한민국을 위기에서 구해낸 결정적인 힘이었습니다.

광장의 함성, 응원봉 들고 외친 민주주의

그는 이어서 말했습니다. 광장에서 응원봉을 들고 목청 높여 소리쳤던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함께해 대한민국의 인권과 민주주의를 지켜냈다. 광장은 단순한 시위 장소가 아니라, 민주주의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이었습니다. 누구나 자유롭게 외치고 연대하며, 대한민국 헌법 제1조를 실현해 나간 시민들이 있었기에 민주주의는 무너지지 않았습니다.

남태령 시위의 상징성과 벅찬 감동

그는 또 이렇게 회고했습니다. 남태령에서 매서운 추위에도 불구하고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국민이 주인임을 외쳤고, 기적을 만들었던 그 장면을 생각하면 아직도 가슴이 벅차오른다. 남태령은 단순한 지명이 아닌, 시민 의지의 상징입니다. 한겨울에도 시민은 포기하지 않았고, 그들의 발걸음 하나하나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를 다시 썼습니다.

박노해 시가 전하는 메시지: 사라지지 말아라

발언의 마지막은 박노해 시인의 시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의 낭독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. 이 시는 단지 문학적 아름다움에 머무르지 않고, 억압 속에서도 존엄을 지키는 인간의 의지를 상징합니다. 시민이 사라지면 민주주의도 사라진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울림 있는 마무리였습니다.

결론: 우리가 지킨 민주주의,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

국민이 주인이다. 이 단순하지만 절대적인 문장은 남태령의 추위 속에서도, 광장의 함성 속에서도 일관되게 울려 퍼졌습니다.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헌법이나 제도가 아니라, 그것을 믿고 실천한 시민이 있었기에 존재할 수 있었습니다. 앞으로도 그 정신을 기억하고, 또 실천해 나갈 때 대한민국은 더욱 강해질 것입니다.

병사 진급 심사 강화 논란과 제도 개선 방향 일병만 15개월 하라고?

300x250
반응형